diarybook89 님의 블로그

재테크 기초부터 탄탄하게 저랑 함께 시작해요!

  • 2025. 8. 27.

    by. diarybook89

    목차

      재테크를 시작할 때 많은 분들이 “무엇부터 해야 할까?”라는 고민을 가장 먼저 하십니다. 특히 세액공제나 소득공제 등 절세 혜택이 있는 금융상품은 종류가 다양하다 보니 순서를 헷갈리기 쉽습니다. 오늘은 사회초년생부터 직장인까지 모두 참고할 수 있는 절세형 금융상품 시작 순서를 알려드리겠습니다. 단순히 혜택만 나열하는 것이 아니라, 어떤 순서로 접근해야 효과가 극대화되는지 단계별로 정리했으니 끝까지 읽어보시면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1. 주택청약종합저축 – 내 집 마련의 첫걸음

      첫 번째로 시작해야 하는 절세 상품은 바로 주택청약종합저축입니다. 무주택자라면 누구나 개설할 수 있고, 가입 연령에도 제한이 없어 사회초년생부터 바로 준비할 수 있습니다. 청약은 납입 기간과 횟수가 길수록 가점이 쌓여 유리하기 때문에 하루라도 빨리 시작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또한 무주택 세대주라면 연간 240만 원 한도 내에서 소득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어 절세 효과도 함께 누릴 수 있습니다. 결국 주택청약종합저축은 단순한 저축 통장이 아니라, 내 집 마련을 앞당기고 세금 부담까지 줄여주는 재테크의 기본기라 할 수 있습니다.

       

       

      2. 연금저축 – 세액공제와 노후 대비를 동시에

      두 번째로는 연금저축을 추천합니다. 연금저축은 연간 400만 원까지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으며, 매년 최대 66만 원(총급여 5,500만 원 이하 기준)의 절세 혜택을 누릴 수 있습니다. 단순히 세금만 줄이는 것이 아니라 장기적으로 노후 자금을 준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중의 장점이 있습니다. 특히 20~30대부터 꾸준히 납입하면 복리 효과가 크게 작용해 은퇴 후 든든한 자산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 세금을 아끼면서 미래를 준비할 수 있으니, 청약 다음 단계로 꼭 챙겨야 할 필수 상품입니다.

       

       

      재테크

       

      3. IRP(개인형 퇴직연금) – 세액공제 극대화 전략

      세 번째 단계는 IRP(개인형 퇴직연금)입니다. 연금저축과 IRP를 합산해 연간 700만 원까지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즉, 연금저축만 했을 때보다 절세 효과를 크게 늘릴 수 있는 구조입니다. 직장인은 퇴직금을 수령하기 위해 어차피 IRP 계좌를 개설해야 하므로, 미리 만들어서 세액공제를 받는 것이 유리합니다. 세액공제 환급액을 다시 IRP에 재투자하면 복리 효과가 배가되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자산을 크게 불릴 수 있습니다. 결국 IRP는 연금저축과 함께 활용해야만 절세 효과가 극대화되는 전략적 상품입니다.

       

       

      4. ISA – 투자와 절세를 한 번에

      네 번째로는 **ISA(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입니다. ISA는 예금, 펀드, ETF 등 다양한 상품을 한 계좌에 담아 관리할 수 있어 초보 투자자에게 적합합니다. 절세 혜택도 강력한데, 200만 원까지는 비과세, 초과분은 9.9%의 저율 분리과세가 적용됩니다. 특히 청년형·서민형 ISA는 비과세 한도가 400만 원으로 더 넉넉합니다. 투자 경험을 쌓으면서도 절세를 놓치고 싶지 않다면 ISA 계좌를 개설하는 것이 좋습니다. 다만 ISA는 청약, 연금저축, IRP를 준비한 후 시작하는 것이 효율적입니다.

       

       

      5. 추가 상품 – 개인연금과 장기저축성 보험

      마지막 단계에서는 상황에 따라 개인연금이나 장기저축성 보험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개인연금은 10년 이상 유지할 경우 이자소득이 비과세되며, 장기저축성 보험 역시 일정 조건을 충족하면 비과세 혜택을 누릴 수 있습니다. 다만 이 상품들은 의무 납입 기간이 길고 유동성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에 본인의 재무 상황과 계획을 꼼꼼히 따져보고 가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즉, 필수적인 기본 절세 상품을 다 챙긴 뒤, 여유 자금이 있을 때 선택적으로 활용하면 효과적입니다.

       

       

      마무리

      정리하자면 절세 혜택을 가장 효율적으로 누리기 위해서는 주택청약종합저축 → 연금저축 → IRP → ISA → 개인연금/저축성 보험 순으로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렇게 단계별로 접근하면 집 마련, 노후 준비, 투자 경험, 절세 혜택까지 모두 챙길 수 있습니다. 재테크는 단순히 돈을 모으는 것을 넘어, 세금을 줄이고 미래를 준비하는 과정입니다. 지금 당장 하나라도 시작해 두는 것이 훗날 큰 차이를 만들어낼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