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사회초년생들이 가장 많이 지출하는 항목을 꼽자면 단연 커피와 OTT 구독 서비스일 것입니다. 직장에 출근하기 전 혹은 점심시간에 마시는 커피 한 잔, 그리고 퇴근 후 피곤한 몸을 달래주는 넷플릭스, 유튜브, 디즈니+ 같은 OTT 서비스는 이미 생활의 일부가 되었습니다. 문제는 이렇게 자주 쓰는 비용이 매달 적지 않게 나간다는 점인데요. 커피 한 잔에 5천 원, OTT 월 구독료 1~2만 원이 쌓이다 보면 사회초년생의 지갑에는 큰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이런 지출을 조금이라도 줄일 수 있는 방법이 바로 혜택형 신용카드 선택입니다. 오늘은 사회초년생의 소비 패턴에 꼭 맞는, 카페와 OTT 구독료 혜택을 동시에 받을 수 있는 신용카드를 소개하고 그 특징을 정리해보겠습니다.
우리카드 DA@카드의정석 – 커피와 OTT 모두 강력한 혜택
첫 번째로 소개할 카드는 우리카드 DA@카드의정석입니다. 이 카드는 사회초년생들에게 특히 인기 있는 이유가 명확합니다. 바로 스타벅스에서 10% 적립 혜택을 제공한다는 점입니다. 사회초년생이 자주 찾는 브랜드 카페에서 바로 혜택을 받을 수 있다는 건 생활비 절약 효과가 크다는 의미죠. 또한 OTT 구독 서비스 혜택도 상당히 매력적인데, 넷플릭스나 왓챠 같은 구독 서비스 결제 시 20%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더 놀라운 점은 이 카드가 전월 실적 조건이 없다는 것입니다. 즉, 소비가 적은 달에도 혜택을 온전히 누릴 수 있다는 것이죠. 소비 여력이 크지 않은 사회초년생에게 무실적 카드라는 점은 아주 큰 장점으로 작용합니다.
신한카드 Point Plan – 생활비 전반을 챙기면서 OTT 할인까지
두 번째는 신한카드 Point Plan(포인트 플랜)입니다. 이 카드는 생활비 전반을 아우르는 혜택과 더불어 OTT 할인까지 제공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전월 실적이 없어도 사용할 수 있으며, 카페에서는 3% 포인트 적립이 가능하고, 넷플릭스나 유튜브 프리미엄 같은 OTT 구독료를 결제하면 월 1,500원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이 카드는 커피나 OTT뿐만 아니라 통신비, 공과금, 푸드 등 일상에서 빠질 수 없는 지출에도 혜택이 주어지기 때문에, 사회초년생의 다양한 소비 패턴을 폭넓게 커버할 수 있습니다. 즉, 한 장의 카드로 커피와 OTT는 물론 생활비 전반을 절약할 수 있는 카드라 할 수 있습니다.
삼성카드 taptap O와 현대카드 M Boost – 높은 할인율과 포인트 적립
세 번째 카드인 삼성카드 taptap O는 카페와 OTT 혜택을 동시에 챙길 수 있는 대표적인 카드입니다. 스타벅스, 커피빈, 투썸플레이스 등 주요 커피 전문점에서 30% 할인 혜택을 제공하며, 넷플릭스와 유튜브 프리미엄 같은 OTT 서비스에서도 20% 할인을 받을 수 있습니다. 다만 이 카드는 일정 수준의 전월 실적 조건(약 30만 원 이상)이 있어야 혜택이 극대화되기 때문에, 월평균 소비가 일정 수준 이상인 사회초년생에게 적합합니다.
또 다른 카드인 현대카드 M Boost는 할인형이 아닌 적립형 혜택을 제공합니다. 스타벅스와 커피빈 등 카페에서 5% 포인트 적립, 넷플릭스, 유튜브, 디즈니+ 같은 OTT 서비스 구독 시에도 5% 포인트 적립이 가능합니다. 직접적인 할인은 아니지만 누적된 포인트를 다른 소비에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특히 꾸준히 OTT와 커피를 이용하는 사람이라면 포인트가 빠르게 쌓이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큰 절약 효과를 누릴 수 있습니다.
소비 패턴에 맞는 카드 선택이 가장 중요
이렇게 정리한 네 가지 카드를 비교해보면 사회초년생이 자신의 소비 패턴에 맞게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결론에 이르게 됩니다. 소비 금액이 크지 않고 부담 없는 혜택을 원한다면 우리카드 DA@카드의정석이나 신한카드 Point Plan이 적합합니다. 반대로 월 소비 금액이 일정 수준 이상이고, 더 큰 혜택을 원하는 분이라면 삼성카드 taptap O가 유리합니다. 마지막으로 직접적인 할인이 아니라도 꾸준한 포인트 적립을 선호한다면 현대카드 M Boost를 고려할 만합니다.
결국 신용카드는 단순히 혜택의 크기를 따지는 것보다 내 소비 패턴에 얼마나 맞는지가 핵심입니다. 사회초년생이라면 커피와 OTT 같은 생활 속 지출에서 합리적으로 혜택을 챙기는 것이 가장 현실적인 재테크 시작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신용카드를 현명하게 활용해 불필요한 지출을 줄이고, 절약한 금액을 저축이나 투자로 연결한다면 작은 차이가 쌓여 큰 자산을 만들 수 있을 것입니다.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초년생, 교통비 절약할 수 있는 신용카드 무엇이 있을까? (0) 2025.09.10 사회초년생을 위한 신용카드 추천, 어떤 카드를 선택해야 할까? (0) 2025.09.09 토스증권 vs 카카오증권, ETF 투자 어디서 시작할까? (0) 2025.09.07 ETF 투자는 어디에서 가입할 수 있을까? (0) 2025.09.07 사회 초년생, 학자금 대출이 있어도 가능한 재테크 방법이 있을까? (0) 2025.09.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