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주식을 처음 시작하는 ‘주린이(주식+어린이)’ 들이 가장 어려워하는 부분은 바로 ‘용어’입니다. 뉴스나 증권 앱을 보다 보면 생소한 단어가 너무 많죠. 그래서 오늘은 초보 투자자라면 꼭 알아야 할 주식 기초 용어 15가지를 쉽고 현실적인 예시와 함께 정리해드릴게요.
주식 (Stock)
기업이 자금을 모으기 위해 발행하는 회사 지분(ownership)이에요. 즉, 주식을 갖고 있으면 그 회사의 일부를 소유하고 있는 것입니다.
예시: 삼성전자 주식 10주를 보유 → 삼성전자의 일부 주주!주가 (Stock Price)
주식 한 주의 가격을 의미합니다.
예시: “삼성전자 주가가 7만 원이다” → 1주를 사려면 7만 원이 필요하다는 뜻이에요.시가총액 (Market Cap)
기업의 전체 가치를 나타내는 수치입니다.
계산식: 주가 × 발행주식 수
예시: 주가 10만 원 × 주식 1억 주 = 시가총액 10조 원!배당금 (Dividend)
기업이 이익을 내면 주주에게 나눠주는 보너스 같은 돈이에요.
예시: 1주당 1,000원 배당 → 100주 보유 시 10만 원 수령!거래량 (Trading Volume)
특정 주식이 얼마나 활발하게 거래되고 있는지를 보여줍니다.
거래량이 많다는 건 그 종목에 투자자들의 관심이 높다는 뜻이에요.PER (주가수익비율, Price Earnings Ratio)
기업의 이익 대비 주가가 얼마나 비싼지를 나타내는 지표예요.
PER이 낮으면 ‘저평가’, 높으면 ‘고평가’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예시: PER 10 → 주가가 이익의 10배 수준.PBR (주가순자산비율, Price Book Ratio)
회사의 순자산(자본)에 비해 주가가 몇 배인지 나타내는 지표예요.
PBR 1 → 자산 가치와 주가가 비슷함.
PBR 0.5 → 자산보다 주가가 낮음(저평가 가능성).EPS (주당순이익, Earnings Per Share)
기업이 주주 한 명당 얼마를 벌었는지를 보여줍니다.
즉, “한 주당 얼마의 이익이 나는가?”를 의미해요.상승장 / 하락장 (Bull Market / Bear Market)
주식 시장의 전반적인 흐름을 나타냅니다.
상승장: 주가가 전반적으로 오르는 시장
하락장: 주가가 전반적으로 떨어지는 시장
예시: 코스피가 꾸준히 오르면 상승장이라 부릅니다.손절 (Stop Loss)
주가가 떨어졌을 때 더 큰 손실을 막기 위해 미리 정한 가격에서 매도하는 행위입니다.
예시: 10만 원에 산 주식이 9만 원이 되면 손절 → 1만 원 손실이지만, 더 큰 하락 방지!분할매수 / 분할매도
한 번에 사고파는 대신, 여러 번 나누어 거래하는 방법이에요.
예시: 10만 원에 3주, 9만 원에 3주, 8만 원에 4주 구매 → 평균 매입 단가 하락!공모주 (IPO, Initial Public Offering)
기업이 처음으로 주식을 일반 투자자에게 파는 것을 말합니다.
예시: 카카오뱅크, 크래프톤 등은 상장을 통해 주식시장에 진입했어요.ETF (Exchange Traded Fund)
여러 기업의 주식을 묶은 ‘패키지형 투자 상품’이에요.
예시: KODEX 200 → 코스피 상위 200개 기업에 한 번에 투자 가능!분산투자 (Diversification)
여러 종목에 돈을 나눠 투자해 위험을 줄이는 방법입니다.
예시: 삼성전자 + 현대차 + 카카오 + ETF → 한 종목이 떨어져도 전체 손실 완화!변동성 (Volatility)
주가가 오르내리는 정도를 뜻합니다.
변동성이 크면 위험도 크지만, 기회도 큽니다.
즉, 안정적인 투자자는 변동성이 낮은 종목을 선호하죠.마무리 요약
구분 의미 예시 주가 한 주의 가격 삼성전자 7만 원 시가총액 회사의 전체 가치 약 400조 원 PER 주가수익비율 낮을수록 저평가 배당금 기업이익 일부를 나눔 1주당 1,000원 거래량 주식의 거래 활발도 높을수록 관심↑ 분산투자 여러 종목에 나눠 투자 리스크 완화 결론
주식은 어렵게 보이지만, 사실 기본 용어만 이해해도 시장 흐름을 읽는 눈이 생깁니다. 이제 뉴스나 주가 차트를 봐도 “PER이 높네”, “시총이 커졌네” 같은 말들이 자연스럽게 이해될 거예요. 주린이 단계에서는 “용어 이해 → 관심 기업 분석 → 소액 투자” 순서로 가는 것이 좋습니다. 지식을 쌓을수록 투자는 더 재미있고, 덜 두려워집니다.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 코스피와 코스탁 알고 시작하자 (0) 2025.11.01 주식 초보자를 위한 차트 보는 방법 완벽 가이드 (0) 2025.10.29 주식 투자 기초 완벽 정리! 초보자를 위한 첫걸음 (0) 2025.10.29 금 투자와 금 ETF 투자 차이점 완벽 비교 (0) 2025.10.28 금 투자의 시작은 어떻게 하나요? (0) 2025.10.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