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재테크를 시작하는 많은 사람들이 가장 먼저 떠올리는 방법은 바로 ‘적금’입니다. 적금은 은행을 통해 누구나 쉽게 시작할 수 있고, 원금 손실 위험이 없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특히 사회초년생이나 안정적인 저축을 원하는 분들이 선호하는 금융 상품이기도 하지요. 그렇다면 매달 일정 금액을 적금에 넣었을 때 5년 후 얼마를 모을 수 있을까요? 오늘은 월 50만 원, 월 100만 원, 월 150만 원을 기준으로 5년 동안 적금을 했을 때 모이는 금액을 비교해 보겠습니다. 단순 계산뿐 아니라 은행 적금 이자(연 3% 가정), 그리고 투자로 운용했을 때까지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단순 적금 계산: 원금만 모은다면
먼저 단순히 원금만 계산해 보겠습니다. 5년은 총 60개월이므로, 매달 불입하는 금액에 60을 곱하면 됩니다. 월 50만 원씩 60개월을 저축하면 3,000만 원이 되고, 월 100만 원씩 저축하면 6,000만 원, 월 150만 원씩 저축하면 9,000만 원이 됩니다. 이렇게 보면 단순히 불입 금액에 따라 결과가 뚜렷하게 보이죠. 하지만 실제 은행 적금을 활용하면 이자라는 요소가 더해져 단순 계산보다 더 많은 금액을 모을 수 있습니다.
은행 적금(연 3% 가정): 이자를 포함하면 얼마?
은행 적금은 매달 불입할 때마다 이자가 붙기 때문에 단순 계산보다 조금 더 많은 돈을 받을 수 있습니다. 연 3% 복리 기준으로 계산해 보면, 월 50만 원을 5년 동안 적금하면 약 3,156만 원이 됩니다. 월 100만 원 적금은 약 6,312만 원, 월 150만 원 적금은 약 9,468만 원으로 계산됩니다. 단순히 원금만 생각했을 때보다 각각 약 150만 원 이상의 차이가 생기는 셈입니다. 결국 같은 기간, 같은 원금이라도 이자를 통해 자산이 더 불어나는 효과를 체감할 수 있다는 것이죠.
투자로 운용했을 경우(연 5% 가정)
만약 적금 대신 안정적인 ETF나 채권형 펀드 같은 금융 상품에 투자하여 연 5% 수익률을 낸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이 경우 월 50만 원씩 투자하면 약 3,290만 원, 월 100만 원은 약 6,580만 원, 월 150만 원은 약 9,870만 원까지 자산을 불릴 수 있습니다. 은행 적금과 비교했을 때 몇백만 원 차이가 나는 것을 알 수 있지요. 물론 투자는 원금 손실 가능성이 있지만, 장기 투자 관점에서는 은행 금리보다 더 높은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본인의 성향과 목표에 따라 ‘안전한 적금’과 ‘성장형 투자’를 적절히 병행하는 것이 현명한 방법이라 할 수 있습니다.
결론: 목표에 맞게 선택해야 한다
결국 5년 뒤 적금 금액별 결과를 정리하면 월 50만 원은 3천만 원대, 월 100만 원은 6천만 원대, 월 150만 원은 9천만 원대로 모을 수 있습니다. 여기에 은행 적금을 활용하면 수십만 원, 투자를 병행하면 수백만 원의 차이가 발생합니다. 중요한 것은 내가 5년 뒤 어떤 목표를 위해 얼마를 모아야 하는가를 먼저 정하는 것입니다. 단순히 많이 모으는 것보다, 결혼 자금인지, 내 집 마련 종잣돈인지, 혹은 은퇴 대비 자금인지에 따라 접근 방식이 달라져야 합니다. 안전하게 모으고 싶다면 적금을, 조금 더 빠르게 불리고 싶다면 투자와 병행을 고려해 보세요. 결국 재테크는 단순히 돈을 모으는 과정이 아니라 목표와 상황에 맞게 최적의 선택을 하는 과정이라는 점을 꼭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년도약계좌와 청년희망적금 비교, 청년에게 꼭 필요한 금융상품은 무엇일까? (0) 2025.09.01 청년도약계좌 가입 방법과 추천해야 하는 이유 (0) 2025.09.01 생활비 절약으로 재테크 속도 높이기: 직장인 실천 가이드 (0) 2025.08.31 직장인 월급으로 1억 모으기, 현실적인 기간과 방법은? (0) 2025.08.31 분산투자의 장단점, 안정적인 재테크를 위한 전략 (0) 2025.08.28